
직접 기억검사에서는 기억상실증 환자의 수행이 떨어지지만 간접 기억검사에서는 비교적 정상이라는 발견은 기억의 생물학적 기초에 관한 연구를 자극하였다. 뇌의 특정 부위에 입은 손상 때문에 기억상실증 환자들의 외현적 기억검사 수행이 떨어지는 것일까? 암묵적 기억검사의 수행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는 외현적 기억검사의 수행을 담당하는 부위와 다른 곳일까? Larry Squire와 그의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기억은 단일체가 아니라, 뇌의 상이한 체제에 의존하는 여러 개의 분리된 실체로 구성되어 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외현적 기억검사에서 나타나는 기억상실증 환자의 저조한 수행은 측두엽 내측에 있는 해마의 손상 때문에 나타난다. 이에 비해, 측두엽 내측이 관여하지 않는 다른 검사에서는 기억상실증 환자도 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