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기억검사와 간접 기억검사에서 나타나는 이런 수행의 차이는 이 두 검사의 차이점에 관한 많은 연구를 자극하였다. 그 결과, 이 두 검사에서 요구되는 처리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예컨대, Jacoby와 Dallas(1981)는 G. Mandler(1980)가 제안한 재인 기억(recognition memory)의 이중-처리 이론을 기초로 이 두 검사에서 요구되는 차이를 설명하려 하였다. 이중-처리 이론에 의하면, 정확한 재인은 자극에 대한 친숙성 판단과 그 자극을 만났던 맥락을 인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Jacoby와 Dallas는 이 이론에서 말하는 친숙성 판단이 바로 지각적 확인을 요구하는 간접 기억검사에 적용되는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지각하기가 어려운 조건에서는 자극 재료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