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2

인지심리학 제 7판 이론과 적용(용량과 선별의 단계)-Stephen K. Reed 지음

용량과 선별의 단계 Johnston과 Heinz(1978)는 주의가 유연하다는 것, 그리고 병문 이론과 용량 이론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들은 자기들의 이론은 개발하기 위해 선별적 청취 과제를 이용했기 때문에 병목현상을 관찰할 가능성이 컸다. 그러나 초기의 병목 이론과는 달리, 그들은 청자가 병목의 위치를 통제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병목의 위치가 인식(지각)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단계(Broadbent의 이론처럼)에서부터 어의적 분석이 끝난 단계(Deutsch와 Deutsch의 이론처럼)에까지 이어지는 연속적 과정의 어느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고 보았다. 병목 위치의 이러한 가변성 때문에, Johnston과 Heinz는 이 이론을 중다-양식 이론(multimode theory)이..

심리학 2025.08.13

인지심리학 제 7판 이론과 적용(용량 이론)-Stephen K. Reed 지음

용량 모형의 보기용량 이론은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정신적 노력의 양을 다룬다. Kahneman의 저서 Attention and Effort(1973)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병목 이론에서 용량 이론으로 이동시키는 일에 일조하였다. Kahneman에 의하면, 용량 이론은 정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능력(즉,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Kahneman의 용량 모형은 병목 이론을 대치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병목 이론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용량 이론에서도 병목 이론에서도 동시에 전개되는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은 서로를 방해/간섭할 수밖에 없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들 이론은 그러한 방해의 원인을 서로 다를 데서 찾는다. 병목 이론은 하나의 기제로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두 가지 일을 해야 하기 때..

심리학 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