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세기 초엽 칼 포퍼는 어떤 과학이론들은 새로운 진보와 지식으로 이끌어 가는데 다른 이론들은 지적(知的) 정체현상으로 이끌어가는 것으로 보이게 되는 기저 원인을 탐색하였다. 예컨대, 전자의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은 놀라울 정도로 새로운 관찰(즉, 멀리 떨어진 별로부터 오는 빛은 태양 주위를 통과할 때 휘어진다는 관찰)로 이어졌는데, 놀라운 까닭은 많은 가능한 사건들이 그 이론의 예언과 상치되어 이론은 반증할 수 있도록 예언이 구조화되었기 때문이었다. 포퍼는 정체된 이론에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추론하고는, 한 예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지목하였다. 프로이트 이론은 사건이 일어난 후에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복잡하기 이를 데 없는 개념 구조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사전에 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