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35

Rumelhart의 모형, 단어우월효과

Rumelhart의 모형Rumelhart(1970)는 Sperling에 의해 연구된 전체-보고법 및 부분-보고법은 물론 그 밖의 다양한 정보처리 과제에서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Rumelhart의 모형은 Sperling의 전제, 즉 형태 인식에는 시각 정보 저장고가 중요하며 형태 인식은 동시적 주사로 이루어진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그러나 그의 모형은 형태가 인식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Rumelhart은 형태 인식이 그 형태를 구성하는 속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속성 인식 과정에는 자극 속의 모든 속성이 동시에 처리되지만, 속성을 인식하는 데는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처리할 시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관찰자가 인식할 수 있는 속..

심리학 2025.08.10

부분-보고법, Sperling의 모형

부분-보고법형태 인식 과제가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1장에서 논의된 정보처리의 각 단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를 밝혀야 한다. 시각적으로 제시된 자극의 인식에 관한 정보처리 모형을 처음으로 만든 사람은 Sperling(1960)이었다. Sperling은 피험자들에게 순간노출 기를 통해 여러 개의 낱자(알파벳)를 아주 짧은 시간 동안(대개 50 msec)만 제시하고 방금 제시되었단 낱자 중에서 그 정체를 파악한 모든 낱자를 보고해 보라고 지시하였다. 제시된 낱자가 5개 이하이면, 거의 모두를 정확하게 보고하였다. 그러나 제시된 낱자가 5개 이상이면, 제시된 낱자의 수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보고할 수 있는 낱자는 평균 4.5개밖에 되지 않았다.정보처리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제수행에..

심리학 2025.08.09

구조 이론

이제 속성 이론의 문제점을 고려해 보자.. 한 가지는 속성이 있는데도 자극형태에 관한 기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림 2.4(Kanizsa, 1979, p. 74)에서 겹쳐져 있는 두 개의 삼각형을 지각한다. 삼각형이 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선분이 있어야 하는데, 이 그림에서 지각하게 되는 ‘삼각형’ 두 개 중 하나에는 선분이 하나도 없다. 그러므로 여기서 지각된 삼각형은 마음속에만 존재하는 속성, 즉 착각성 속성을 기초로 구축된 것이라고 해야 한다. 속성 이론의 두 번째 문제는 형태를 묘사하기 위해서는 속성들의 조합방식이 명시돼야 한다는 데서 발생한다. 형태를 구성하는 속성들 간의 관계는 인공지능 연구자들에 의해 공식화되었다. 이들은 형태를 구성하는 선분들이 결합되는 방식에 따..

심리학 2025.08.08

속성 이론

속성 이론형판 이론으로 Phillips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었던 것은 첫 번째 자극형태의 감각 상(sensory image)에다 두 번째 형태를 맞추어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감각 상은 제시된 형태가 감각기억에서 붕괴될 때까지 실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일종의 잔상(afterimage)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실 밖에서도 감각 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는 의문이다. 설혹 그렇다고 하더라도, 감각 기억의 정보는 곧 소멸되고 말기 때문에 대개의 형태 맞추기에는 감각 기억이 이용될 수 없고, 형태에 대한 기록이 비교되어야 한다. 속성 이론(feature theory)에서는 형태의 부분 부분을 나열함으로써 그 형태를 묘사한다. 예컨대, 우리는 친구를 ‘머리는 길고 노란색이며,, 코는 낮고,..

심리학 2025.08.07

형판 이론

형판 이론 형판 이론은 형태에 대한 기록을 가정하지 않는다. 형판(template)이란 분석되지 않은 개체로서, 두 개의 형태를 비교한다는 것은 각 형태에 상응하는 두 개의 형판이 겹치는 정도를 측정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두꺼운 종이를 오려서 한 세트의 문자는 만들어 두었다고 상상해 보라. 만약 내가 만든 문자 하나를 주면, 여러분은 내가 준 것과 여러분이 만들어 두었던 문자-형판-를 하나씩 맞추어보며 서로가 겹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러분이 만든 형판 중에서 내가 준 것과 가장 많이 겹치는 것을 찾아냄으로써 여러분은 내가 준 형태가 무슨 문자인지를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이제, 종이로 만든 문자를 각각의 문자에 의해 망막에 투사된 시각 상(visual images)이라고 생각하고,..

심리학 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