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35

뇌의 구조, 요약

직접 기억검사에서는 기억상실증 환자의 수행이 떨어지지만 간접 기억검사에서는 비교적 정상이라는 발견은 기억의 생물학적 기초에 관한 연구를 자극하였다. 뇌의 특정 부위에 입은 손상 때문에 기억상실증 환자들의 외현적 기억검사 수행이 떨어지는 것일까? 암묵적 기억검사의 수행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는 외현적 기억검사의 수행을 담당하는 부위와 다른 곳일까? Larry Squire와 그의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기억은 단일체가 아니라, 뇌의 상이한 체제에 의존하는 여러 개의 분리된 실체로 구성되어 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외현적 기억검사에서 나타나는 기억상실증 환자의 저조한 수행은 측두엽 내측에 있는 해마의 손상 때문에 나타난다. 이에 비해, 측두엽 내측이 관여하지 않는 다른 검사에서는 기억상실증 환자도 정상..

심리학 2025.08.19

처리 이론, 중다 기억

직접 기억검사와 간접 기억검사에서 나타나는 이런 수행의 차이는 이 두 검사의 차이점에 관한 많은 연구를 자극하였다. 그 결과, 이 두 검사에서 요구되는 처리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예컨대, Jacoby와 Dallas(1981)는 G. Mandler(1980)가 제안한 재인 기억(recognition memory)의 이중-처리 이론을 기초로 이 두 검사에서 요구되는 차이를 설명하려 하였다. 이중-처리 이론에 의하면, 정확한 재인은 자극에 대한 친숙성 판단과 그 자극을 만났던 맥락을 인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Jacoby와 Dallas는 이 이론에서 말하는 친숙성 판단이 바로 지각적 확인을 요구하는 간접 기억검사에 적용되는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지각하기가 어려운 조건에서는 자극 재료에 대한..

심리학 2025.08.18

습득, 파지

훌륭한 습득 전략을 터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 전략 중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 어는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Atkinson과 Shiffrin은 그들의 모형에 암송, 부호화, 심상화라는 세 가지 전략을 포함시켰지만, 주로 암송전략을 연구했었다. 과연 암송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일까? 다음 두 장에서 알게 되겠지만, 심상화나 부호화 같은 보다 정교한 전략이 암송보다 더 효과적일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연구에 관해 모르는 사람들도 스스로의 능력만으로 훌륭한 학습전략을 선택할 수 있을까? 학습은 일시적일 수도 있기 때문에 특정 재료를 학습한 직후에 내린 판단은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어떤 재료의 경우, 그것을 분명히 학습했다고 확신했는데, 나중에 가서는 재생하지 못할 수도 있다(Atki..

심리학 2025.08.17

암송과 계열위치효과, 통제과정

어문적 암송으로도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한 가지 방법은 피험자에게 소리 내어 암송을 해 보도록 하는 것이다. 실험자는 자극 항목을 암송한 횟수를 셀 수 있을 것이고, 그리하여 자극 항목을 재생해 내는 확률이 암송 횟수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Rundus(1971)는 Stanford 대학교의 학부생들에게 20개의 명사로 구성된 자극 목록을 제시하였다. 목록 속의 각 단어는 5초 동안 제시되었다. Rundus는 학생들에게 제시된 단어를 이 5초 동안 소리 내어 반복하라고 지시하였다. 주어진 시간 동안 암송을 하는 한, 자극 목록의 어떤 단어를 암송하고 암송하지 않고는 학생들의 자유였다. 목록의 단어가 모두 제시된 후 학생들에게 순서에 관계없이 학습한 단어를 재생해 보라고 하..

심리학 2025.08.16

Atkinson-Shiffrin 모형

단어 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의 정보전이 Atkinson과 Shiffrin(1968, 1971)이 제안한 이론은 STM과 LTM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이들은 STM으로부터 LTM으로의 정보전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LTM은 두 가지의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첫째는 망각 속도가 느리다는 점이다. 어떤 심리학자들은 LTM의 정보를 인출하는 능력이 상실될 수는 있어도 LTM의 정보 자체가 상실되는 일은 없다고 주장할 정도이다. 정보가 상실된 것과 정보를 인출하지 못하는 것은 실용적으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보가 상실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면, 결국에는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질 수도 있다. LTM의 두 번째 장점은 LTM의 최대용량이 무한정이라..

심리학 2025.08.15

자동적 처리

자동적 처리 Johnston과 Heinz의 연구와 다른 심리학자들의 연구는 과제에 따라 그 과제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정신적 노력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연습을 통해 숙달된 기능은 정신적 노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기도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일컫기 위해 자동적 처리(automatic processing)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자동적 처리의 한 가지 특징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벌어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우리가 수행하는 많은 일은 의도적 선택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의식 밖에서 전개되는 정신활동을 촉발하는 환경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이론가들도 있다(Bargh & Chartrand, 1999). 정보가 자동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은 주로 장점으로 작용한다. 자동적 처..

심리학 2025.08.14

용량과 선별의 단계

용량과 선별의 단계 Johnston과 Heinz(1978)는 주의가 유연하다는 것, 그리고 병문 이론과 용량 이론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들은 자기들의 이론은 개발하기 위해 선별적 청취 과제를 이용했기 때문에 병목현상을 관찰할 가능성이 컸다. 그러나 초기의 병목 이론과는 달리, 그들은 청자가 병목의 위치를 통제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병목의 위치가 인식(지각)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단계(Broadbent의 이론처럼)에서부터 어의적 분석이 끝난 단계(Deutsch와 Deutsch의 이론처럼)에까지 이어지는 연속적 과정의 어느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고 보았다. 병목 위치의 이러한 가변성 때문에, Johnston과 Heinz는 이 이론을 중다-양식 이론(multimode theory)이..

심리학 2025.08.13

용량 이론

용량 모형의 보기용량 이론은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정신적 노력의 양을 다룬다. Kahneman의 저서 Attention and Effort(1973)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병목 이론에서 용량 이론으로 이동시키는 일에 일조하였다. Kahneman에 의하면, 용량 이론은 정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능력(즉,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Kahneman의 용량 모형은 병목 이론을 대치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병목 이론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용량 이론에서도 병목 이론에서도 동시에 전개되는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은 서로를 방해/간섭할 수밖에 없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들 이론은 그러한 방해의 원인을 서로 다를 데서 찾는다. 병목 이론은 하나의 기제로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두 가지 일을 해야 하기 때..

심리학 2025.08.13

용량 모형의 보기

용량 모형의 보기용량 이론은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정신적 노력의 양을 다룬다. Kahneman의 저서 Attention and Effort(1973)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병목 이론에서 용량 이론으로 이동시키는 일에 일조하였다. Kahneman에 의하면, 용량 이론은 정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능력(즉,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Kahneman의 용량 모형은 병목 이론을 대치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병목 이론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용량 이론에서도 병목 이론에서도 동시에 전개되는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은 서로를 방해/간섭할 수밖에 없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들 이론은 그러한 방해의 원인을 서로 다를 데서 찾는다. 병목 이론은 하나의 기제로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두 가지 일을 해야 하기 때..

심리학 2025.08.12

단어우월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 신경망 모형

단어우월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 단어 재인에 관심을 가진 심리학자들을 괴롭힌 문제 중 하나가 단어우월효과를 어떻게 설명하느냐는 것이었다(Pollatsek & Rayner, 1989). 이 문제해결에 특별한 영향력을 행사한 모형으로 McClelland와 Rumelhart(1981)의 상호활성화 모형(interactive activation model)을 들 수 있다. 이 모형의 기본 전제는 낱자 인식에 관한 Rumelhart(1970) 모형의 전제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첫 번째 전제는 시지각(visual perception)은 동시적 처리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처리가 동시적으로 전개된다는 말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있다. 하나는 공간적 동시처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극 단어 속의 낱자 4개가 모두 동..

심리학 2025.08.11